상대적으로 저가라는 인식이 강한 식품이나 주방용품을 영업하는 경우에는 여유를 주는 유도형 영업 기법보다는 영업인 자신도 사용하고 있다는 친밀형 영업기법이 적합하다.
고가 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객들은 저가의 상품들에 대한 정보 습득에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객들에게 주로 사용되는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상품 정보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경향이 높다.
이 외에도 기존의 상품만을 반복 구매하는 습성으로 새로운 상품에 대한 거부감이 강한 특성이 있다. 이런 이유는 역으로 고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틈새로 작용된다.
익숙한 상품이므로 정보 습득을 무시하는 고객들에게 잘못 알고 있는 정보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는 영업기법이 유효하다. 부가적으로 익숙함에 의한 구매가 일반적인 저가 상품일 경우에는 고객들의 눈에 잘 보이는 곳에 진열하여 새로운 상품이라는 인식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