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날 창시자인 소파 방정환 선생의 손글씨를 토대로 한 KCC방정환체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방정환 탄생 125년을 기념하는 2024년에 제작한 폰트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무료 글꼴로 제공하고 있다. 다음에서 해당 KCC방정환체를 무료로 다운로드하는 방법과 더불어 컴퓨터에 설치하거나 코딩 시에 사용하는 방법도 살펴본다.
어린이날 창시자 소파 손글씨 폰트로 구현한 KCC방정환체 무료 다운로드
CONTENTS
누구나 개인적인 용도뿐만 아니라 상업적인 용도에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무료 폰트인 KCC방정환체를 소개한다. 2024년에 출시된 KCC방정환체는 한글 11,172자를 비롯해서 라틴 37자, KS기호문자 414자로 구성되어 있는 두꺼운 굵기를 지닌 즉, bold체 글꼴로 제작된다. 그러면서 TTF와 OTF 그리고 웹폰트까지 제공하는데, 각각의 폰트 포맷에는 가로쓰기용과 세로쓰기용이라는 독특한 2가지 형태가 담겨 있다. 단, 영문 대소문자 및 영문 기반의 심볼은 지원하지 않는다. 다음에서 제시하는 순서대로 따라 하면 KCC방정환체를 무료로 다운로드해서 사용할 수 있다.
공유마당 사이트에 접속한다.
소파 방정환 선생의 손글씨를 토대로 폰트로 구현한 KCC방정환체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제작해서 무료로 배포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사이트 또는 공유마당에서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해서 사용할 수 있다.
위에 이미지를 누르면 공공누리 글꼴 페이지로 바로 연결하는데, 2024년 11월에 배포된 최근 글꼴이다보니 현재 공유마당에만 올라가 있고 공공누리 사이트에서는 찾을 수 없다. 하지만 조금 시간이 지나면 공공누리 사이트에도 등록되므로 여기에서도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현재는 공유마당에서만 다운로드가 가능한 상태이다.
참고로, 공공누리 사이트는 회원가입을 해야만 무료 글꼴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 회원가입 역시 무료이고 공공누리 사이트에는 무료 글꼴 이외에도 다양한 무료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KCC방정환체 다운로드
위에서 언급했듯이 공공누리 사이트 또는 공유마당에서 KCC방정환체를 다운로드하는 방법이 가장 안전하고 공식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2024년 11월 배포 당시에 공공누리 사이트에는 해당 KCC방정환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현재 기준으로는 공유마당을 이용하는 게 유일한 루트이다.
상기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공유마당 사이트로 연결되는데, 여기에서 상단 메뉴 중 무료글꼴을 눌러 전환한 화면에서 KCC방정환체로 검색하면 폰트 항목에 해당 KCC방정환체 항목이 나타난다.
이후 KCC방정환체 박스가 나오면 바로가기 항목을 누르면 해당 KCC방정환체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페이지로 전환하는데, 여기에서 이 공유저작물의 이용범위를 숙지하고 동의합니다. 이렇듯 해당 동의 항목에 체크한 후에 공유저작물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별도의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KCC방정환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후 간단한 설물조사 팝업이 나올 수 있는데, 최초 사이트 접속 시 1회만 나오므로 간단히 체크한 후에 확인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다운로드 팝업이 나오는데 하단에 있는 전체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거나 필요한 항목만 체크한 후에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위와 같이 zip 압축 포맷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 해당 압축 파일을 알집 또는 반디집과 같은 압축 해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제한다.
그러면 위와 같이 3개의 폴더와 해당 KCC방정환체 폰트 설명을 담은 가이드라인 pdf 문서를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꼴은 트루타입인 TTF와 오픈타입인 OTF로 나뉘는데, 둘 다 모든 컴퓨터 운영체계와 인쇄 시에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TTF를 윈도우용 서체 그리고 OTF를 맥용 서체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OTF가 워낙 고해상도이다 보니 구형 컴퓨터나 구형 윈도우 운영체계에서 오류를 발생하는 사례가 있어 맥용에만 OTF를 사용한다는 인식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문서 작업이나 평이한 인쇄 시에는 트루타입인 TTF를 사용하면 된다. 특히 OTF 포맷은 한글을 PPT에서 열 때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일반인들은 TTF 포맷을 주로 사용한다.
컴퓨터에 KCC방정환체 설치하기
위에서 다운로드한 KCC방정환체 파일에서 웹폰트는 코딩 또는 웹디자인 시에 활용하는 별도의 폰트 포맷이므로 마지막에 추가하는 코딩에서 KCC방정환체를 사용하는 방법을 참조하면 된다. 여기에서는 일반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KCC방정환체 TTF 포맷을 중심으로 컴퓨터에서 설치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위의 이미지는 폴더에서 보기 옵션을 아주 큰 아이콘으로 설정한 모습이다. 이렇게 폴더 옵션만 조정해도 실제 글꼴이 어떠한 모양인지 가늠할 수 있어 편하다. 참고로, 해당 글꼴 파일 중에 VTTF로 끝나는 글꼴은 세로형 글꼴 포맷이고 TTF으로 끝나는 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로형 글꼴 포맷이다. 이렇듯 일반적인 글꼴 파일에는 없는 독특한 세로형 글꼴 포맷도 담겨 있는데, 이는 과거에 글쓰기 포맷인 세로쓰기로 작성된 방정환 선생의 필체 느낌을 고스란히 전달하려는 의도로 추측된다. 따라서 특별한 목적이 아니라면 KCCBangJeonghwanTTF라는 파일명이 담긴 가로형 글꼴 포맷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KCC방정환체를 컴퓨터에 설치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파일을 누른 후에 나오는 팝업에서 설치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현재 파일이 2개이지만 일반적으로 가로형 포맷의 글꼴 파일만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글꼴 파일을 누른 후에 설치 버튼을 눌러 컴퓨터에 설치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글꼴을 설치하면서, 제대로 글꼴이 설치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우선 기본적으로 위에서처럼 필요한 글꼴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해제하는 것까지는 동일하다. 이후에 글꼴 파일을 직접 설치 버튼을 눌러 설치하는 방식이 아니라 글꼴 파일을 컴퓨터 운영체계 내에 설치되는 폴더에 직접 이동해서 설치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좌측에서 글꼴 항목을 누른 후에 우측에 나오는 설치 하려면 끌어서 놓기 박스에 설치할 글꼴 파일을 마우스로 잡고 드롭 방식으로 갖다 놓으면 설치를 진행한다. 더불어 사용 가능한 글꼴을 보면 현재 컴퓨터에 설치된 모든 글꼴을 확인할 수 있다.
설정을 활용한 방법과 유사한 또 다른 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한 폴더에서 fonts 폴더에 설치할 글꼴 파일을 마우스로 끌어서 드랍해도 된다. 기본적으로 윈도우는 C하드에 설치되므로 아무 폴더나 연 후에 좌측 항목에서 내 PC로 들어간 후에 오른쪽에 나오는 장치 및 드라이브에서 C하드를 선택하고, 이후 Windows 폴더에 들어가 Fonts 폴더를 찾으면 된다. 여기 Fonts 폴더에는 컴퓨터에 설치한 모든 글꼴이 나오므로, 여기에 글꼴 파일을 추가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글꼴도 여기에서 삭제하면 된다.
참고로, 해당 KCC방정환체는 현재 남아있는 자료 중에서 방정환 선생의 필적이 실별 가능한 글자 90여 자를 토대로 제작했는데, 방정환 선생이 손글씨를 오늘날 폰트 사용에 적합하도록 질감을 최소화하고 두꺼운 굵기로 구현했다. 특히 글자에 따라 초성, 종성에 동일한 자소임에도 형태가 달라지는데 이는 손글씨의 자연스러움을 고스란히 반영한 의도에 따른 것이다. 참고로, 일반적인 글꼴은 초성, 종성에 사용하는 자소의 형태는 글자에 따라 변하지 않는 동일한 기계적인 규칙성을 반영하는데, 해당 KCC방정환체는 이러한 기계적인 인상을 주지 않는 선택을 한 것이다.
코딩에서 KCC방정환체 사용하는 방법
모바일 또는 브라우저 등 웹에서 보여지는 글꼴 포맷은 WOFF가 일반적이다. 코딩 시에는 대부분 웹과 인쇄에 모두 사용 가능한 TTF 포맷과 함께 웹에서 사용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WOFF 포맷, 이 둘을 함께 사용한다. 위에서 KCC방정환체를 다운로드할 때 별도의 웹폰트폴더를 제공했는데 해당 웹폰트 폴더에 바로 WOFF 폰트를 비롯하여 WOFF2, EOT 포맷의 일명 코딩용 웹폰트가 별도로 담겨 있다. 하지만 해당 웹폰트를 서버에 올려서 CDN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개인이 하기에는 약간 무리가 있다. 대부분 웹폰트로 사용할 수 있는 폰트는 글꼴 개발사 또는 유통사에서 CDN으로 제공한다. 다음에서 KCC방정환체를 woff 포맷으로 CDN 연결 방식을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KCC방정환체는 현재 폰트 사이트의 대명사처럼 자리한 눈누 사이트에서 CDN 방식으로 웹폰트를 지원하고 있다. 코딩에서 KCC방정환체 폰트를 사용하려면 눈누 사이트에서 가져온 코드를 CSS에 붙여넣기하면 자동으로 KCC방정환체 woff 포맷 글꼴을 다운로드한다.
@font-face {
font-family: 'KCCBangJeonghwan';
src: url('https://fastly.jsdelivr.net/gh/projectnoonnu/2411-2@1.0/KCCBangJeonghwan.woff2') format('woff2');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body { font-family: 'KCCBangJeonghwan' }
따라서 해당 KCC방정환체를 적용할 태그 또는 클라스를 활용해 font-family 속성과 속성값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코딩 시 모든 웹에 있는 텍스트에 KCC방정환체를 적용한다면, 위에 같이 body 태그에 폰트 스타일을 추가하면 된다. 이를 통해 웹 상에서 다른 사람들도 자신의 컴퓨터에 글꼴을 설치하지 않아도 동일한 글꼴을 볼 수 있다. 만약 웹 상에서 특정 영역만에 이 글꼴을 사용한다면 해당영역 태그명 또는 클라스명을 활용하여 CSS에서 스타일을 설정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