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특징과 남산을 모태로 제작한 글꼴인 서울남산체를 무료로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더불어 누구나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서울남산체 폰트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과 코딩 시에 사용하는 방법도 살펴본다.
서울남산체 무료 다운로드
CONTENTS
누구나 개인적인 용도뿐만 아니라 상업적인 용도에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무료 글꼴인 서울남산체 폰트를 소개한다. 서울남산체 폰트는 서울시가 기획하고 윤디자인이 제작한 글꼴로 어디에 사용해도 무난하다는 특징으로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는 범용성이 매우 뛰어난 폰트로 자리하고 있다. 다음에서 제시하는 순서대로 따라 하면 서울남산체를 무료로 다운로드해서 사용할 수 있다.
서울서체 사이트 바로가기
서울남산체는 서울의 고유글꼴로 제작한 서울서체 중 하나로, 대표적인 서울서체로는 서울한강체와 서울남산체가 있다. 이중 서울남산체가 더욱 많이 사용되는데 비교적 다른 글꼴에 자모가 정자체에 가까운 형태로 어디에 사용해도 튀지 않고 무난하다는 장점이 있다.
위의 이미지에서 보듯이 서울남산체는 기본 정체와 이보다 글줄길이를 10.7% 단축한 장체로 크게 나뉜다. 또한 해당 서울남산체 정체와 장체는 각각 굵기에 따라 여러 개의 글꼴 파일로 제공된다.
서울남산체는 Light, Medium, Bold, Extra Bold 등 대부분의 폰트와 마찬가지로 글꼴 굵기에 따라 나뉜 4종과 여기에 추가로 세로쓰기 1종이 추가되어 있다. 이러한 서울남산체를 변형한 서울남산체 장체는 기본 굵기에 따른 4종에 black을 추가한 5종으로 구성된다.
서울남산체 다운로드
위에서 제시한 서울서체 사이트에 접속하면 상단 부분에 해당 서울남산체를 포함한 서울서체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박스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설치할 컴퓨터 운영체계에 따라 윈도우용 또는 맥용을 선택해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 자동으로 컴퓨터 운영체계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글꼴을 설치 시에 사용하는 방법은 아니다. 물론 exe 확장자를 지닌 파일을 실행하면 간편하게 서울남산체를 포함하여 모든 서울서체를 컴퓨터에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글꼴을 설치 시에 사용하는 방식인 수동설치 항목으로 서울서체 중에 필요한 서울남산체만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에 추가한 서울서체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원하는 글꼴만 선택해서 수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서울서체 4종을 모두 담은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서울남산체 설치하기
위에서 제시한 대로 서울서체를 다운로드하면 아래와 같이 서울남산체와 서울한강체를 모든 담고 있는 zip 확장자를 지닌 압축 파일이 컴퓨터 바탕화면 또는 다운로드를 지정한 폴더에 나타난다.
우선 다운로드한 해당 zip 압축 파일을 알집 또는 반디집과 같은 압축 해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제하면 위와 같이 4가지 폴더가 들어 있다. 여기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울남산 정체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여기에서 서울남산 폴더에 들어가 해당 ttf 포맷의 5가지 글꼴 파일이 담긴 폴더에서 보기 옵션을 아주 큰 아이콘으로 설정하면 해당 글꼴이 글꼴이 어떠한 모양인지 가늠할 수 있어 편하다. 위에서 보듯이 서울남산체는 ㅎ이 완전히 연결되지 않은 형태로 해당 자소는 한국 조형을 대표하는 한옥의 열림을 차용해서 디자인했다. 이렇듯 자음에서 완전히 연결되지 않은 음소는 ㅎ과 ㅍ, 2가지로 해당 자소에만 열림을 시각화하여 형상화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서울남산체를 컴퓨터에 설치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설치를 원하는 해당 파일을 누른 후에 나오는 팝업에서 설치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이렇게 설치하고자 하는 글꼴 파일을 누른 후에 설치 버튼을 눌러 컴퓨터에 설치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해당 서울남산체 글꼴 파일은 5개이므로 모든 글꼴을 설치하면 동일한 과정을 5번 수행해야 한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글꼴 파일이 여러 개라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글꼴을 설치하면서 글꼴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우선 기본적으로 위에서처럼 필요한 글꼴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압축을 해제하는 것까지는 동일하다. 이후에 글꼴 파일을 직접 설치 버튼을 눌러 설치하는 방식이 아니라 글꼴 파일을 컴퓨터 운영체계 내에 설치되는 폴더에 직접 이동해서 설치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좌측에서 글꼴 항목을 누른 후에 우측에 나오는 설치 하려면 끌어서 놓기 박스에 설치할 글꼴 파일을 마우스로 잡고 드롭 방식으로 갖다 놓으면 설치를 진행한다. 더불어 사용 가능한 글꼴을 보면 현재 컴퓨터에 설치된 모든 글꼴을 확인할 수 있다.
설정을 활용한 방법과 유사한 또 다른 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한 폴더에서 fonts 폴더에 설치할 글꼴 파일을 마우스로 끌어서 드랍해도 된다. 기본적으로 윈도우는 C하드에 설치되므로 아무 폴더나 연 후에 좌측 항목에서 내 PC로 들어간 후에 오른쪽에 나오는 장치 및 드라이브에서 C하드를 선택하고, 이후 Windows 폴더에 들어가 Fonts 폴더를 찾으면 된다. 여기 Fonts 폴더에는 컴퓨터에 설치한 모든 글꼴이 나오므로, 여기에 글꼴 파일을 추가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글꼴도 여기에서 삭제하면 된다.
서울남산체 활용하기
위에서 제시한대로 서울남산체를 설치 시에 해당 폰트는 ttf 포맷만 제공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글꼴은 트루타입인 TTF와 오픈타입인 OTF로 나뉘다. 참고로, 많이들 TTF를 윈도우용 서체 그리고 OTF를 맥용 서체로 잘못 알고 있는데, 둘 다 모든 컴퓨터 운영체계와 인쇄 시에 사용이 가능하므로 ttf 포맷으로 충분하다.
해당 서울남산체는 서울시에 설치한 시설물들에서 흔히 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익숙한 글꼴로, 비단 서울시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렇듯 서울남산체는 오프라인에서는 많이 볼 수 있는데 웹사이트와 같은 온라인에서는 사용 빈도가 희소할 정도로 적다.
@font-face {
font-family: 'SeoulNamsanM';
src: url('https://cdn.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two@1.0/SeoulNamsanM.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body { font-family: 'SeoulNamsanM' }
물론 위와 같이 웹폰트를 제공하는 눈누 사이트에서 CDN 방식으로 연결해서 코딩 시에 활용이 가능하지만, 온라인상에서 서울남산체 폰트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 보니 코딩 시에 사용할 일은 매우 드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