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프지수로 비만을 평가하는 체질량지수로 BMI 지수라고 불리는 비만도 계산기를 살펴본다. 세계적으로 공통표준 지수로 사용하는 BMI 지수는 체지방의 정도를 표준체중보다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고 매우 간단히 규정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비만도 계산기
Contents
체질량 지수(BMI)는 사람들을 저체중, 정상 체중,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편리한 도구로, 1980년대 이래로 BMI는 세계 보건기구(WHO)에 의해 국가 비만 통계 및 연구에 있어 표준으로 사용되어 왔다. 실제 임상 상황에서 BMI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과체중인지 저체중인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한다. 아래에서 간단히 바로 BMI를 계산하고,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BMI 계산기
키 (cm)
몸무게 (kg)
BMI 지수 보기
BMI 지수는 매우 간단한 공식에 의해 계산이 되는데, 체중(kg)을 신장(cm) 곱하기 신장(cm) 값으로 나누어주면 된다. 이를 통해 크게 6가지 단계로 구분하는데, 18.5 kg/㎡ 이하는 저체중 상태이고 18.5~22.9 kg/㎡가 정상 상태이다. 23을 초과한 BMI 지수부터 과체중 상태로 보는데, 과체중도 단계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다. 우선 23~24.9 kg/㎡는 비만전단계로 그래도 어느 정도 정상치에 가까운 과체중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후부터는 과체중을 넘어 비만으로 분류하므로 상당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1단계 비만은 25~29.9 kg/㎡까지이고, 2단계 비만은 30~34.9 kg/㎡이다. 이후 35를 초과하는 BMI 지수는 최고 과체중 등급인 3단계 비만으로 분류한다.
모바일용 비만도 계산기
오늘날에는 PC 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많다보니 BMI 계산기도 스마트폰 필수 유틸리티로 자리하고 있다. 모바일용 BMI 계산기는 모바일 운영체계에 따라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설치할 수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에서 BMI 계산기 또는 체질량지수 계산기로 나오는 모든 앱은 동일하게 비만도 계산기를 지칭한다. 비교적 비만도 계산기는 공식이 단순해서 제작이 간단해 많은 앱이 올라와 있는데, 대부분 대동소이한 결과를 보여주므로 어떤 앱을 다운로드해도 크게 상관이 없다.
일반적으로 BMI 지수를 간단히만 알고 있어도 무방한데, 오늘날 많은 웹사이트에서 키와 몸무게만 입력하면 바로 BMI 지수를 알 수 있으므로, 18.5에서 25 사이로 나오면 정상이라면 생각하면 된다. 이보다 낮으면 저체중이고 이 보다 높으면 과체중이다. 다만 25를 초과해서 30 미만인 상태는 과체중이지만 비만으로는 간주하지 않고, BMI 지수가 30을 넘기면 그때부터 비만 상태라고 진단하는 게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