껍데기는 가라를 쓴 신동엽 시인의 필체를 토대로 한 신동엽 손글씨 서체를 무료로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더불어 누구나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신동엽 손글씨 서체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과 코딩 시에 사용하는 방법도 살펴본다.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손글씨 서체 다운로드
CONTENTS
누구나 개인적인 용도뿐만 아니라 상업적인 용도에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무료 글꼴인 신동엽 손글씨 서체를 소개한다. 신동엽 손글씨 서체는 껍데기는 가라라는 시처럼 혁명과 미래를 표현한 신동엽 시인의 정신을 담고자 그의 필체를 그대로 살려 디자인했다. 특히 신동엽 시인이 강조한 공동체 정신을 계승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나눔 끌꼴로 제공하고 있다. 다음에서 제시하는 순서대로 따라 하면 신동엽 손글씨 서체를 무료로 다운로드해서 사용할 수 있다.
BUYEOFONT 사이트 바로가기
신동엽 손글씨 서체는 정림사지 서체를 비롯하여 전국의 자역별 서체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BUYEOFONT 사이트에서 제작해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위의 이미지에서 보듯이 신동엽 시인이 손으로 직접 쓴 원고에 담긴 자유분방하게 흘려 쓴 속도감 있는 필체를 그대로 신동엽 손글씨 서체에 반영했다.
그렇다보니 자음과 모음뿐만 아니라 폭과 넓이에서도 획일적인 통일성이 아니라 그야말로 자유로운 영혼처럼 모든 자소들이 제각각 살아서 행동하는 등 약간은 이질적인 글씨체이다.
신동엽 손글씨체 다운로드
위에서 제시한 BUYEOFONT 사이트에서 상단 메뉴 중 신동엽 손글씨 서체를 눌러 아래로 스크롤하다 보면 중간 지점에서 신동엽 손글씨 서체를 OTF 또는 TTF 글꼴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꼴은 트루타입인 TTF와 오픈타입인 OTF로 나뉘는데, 둘 다 모든 컴퓨터 운영체계와 인쇄 시에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TTF를 윈도우용 서체 그리고 OTF를 맥용 서체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OTF가 워낙 고해상도이다 보니 구형 컴퓨터나 구형 윈도우 운영체계에서 오류를 발생하는 사례가 있어 맥용에만 OTF를 사용한다는 인식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문서 작업이나 평이한 인쇄 시에는 트루타입인 TTF를 사용하면 된다. 특히 OTF 포맷은 한글을 PPT에서 열 때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일반인들은 TTF 포맷을 주로 사용한다.
BUYEOFONT 사이트 사이트 또는 위에 추가한 신동엽 손글씨 서체 TTF 다운로드 버튼 또는 신동엽 손글씨 서체 OTF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해당 글꼴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인쇄 또는 전문적인 디자인에서 글꼴을 사용할 때는 OTF 포맷을 다운로드하고, 이외에 일반적인 용도로는 TTF 포맷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추천한다.
신동엽 손글씨 서체 설치하기
위에서 제시한 대로 신동엽 손글씨 서체를 다운로드하면 아래와 같은 해당 글꼴을 담은 zip 확장자를 지닌 압축 파일이 컴퓨터 바탕화면 또는 다운로드를 지정한 폴더에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위와 같은 ttf 포맷을 윈도우용 PC에 설치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아래에 있는 otf 포맷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지만, 일반인들은 ttf 포맷만으로 충분하다.
우선 다운로드한 ttf 포맷 해당 zip 압축 파일을 알집 또는 반디집과 같은 압축 해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제하면 아래와 같이 2가지 폴더가 들어 있다.
위에 폴더는 맥용이고 아래에 있는 파일 2개가 바로 윈도우용 컴퓨터에 설치할 수 있는 글꼴 파일로 볼드체와 레귤러체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윈도우용 PC에 ttf 포맷을 설치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더불어 압축을 해제한 ttf 포맷의 글꼴 파일이 담긴 폴더에서 보기 옵션을 아주 큰 아이콘으로 설정하면 해당 글꼴이 글꼴이 어떠한 모양인지 가늠할 수 있어 편하다.
![신동엽 손글씨 서체 설치 2](https://blog.kakaocdn.net/dn/3k5fY/btsxsQqynaY/FmUG7jHfdh0gHR5ecNx9jK/img.png)
신동엽 손글씨 서체는 받침에 있는 ㄹ이 매우 이질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했듯이 자소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듯이 규칙성을 찾기 어려울 만큼 펜으로 빠르게 휘갈긴 손글씨의 전형을 보여준다. 따라서 형식과 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보고서 또는 리포트 등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폰트이므로, 예술 작품이나 창의적인 연출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하는 게 적절해 보인다. 해당 신동엽 손글씨 서체를 컴퓨터에 설치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설치를 원하는 해당 파일을 누른 후에 나오는 팝업에서 설치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신동엽 손글씨 서체 설치 3](https://blog.kakaocdn.net/dn/ciNTpj/btsxigc8Cst/M0QKAKbmIBXHziC3XiKRRK/img.png)
이렇게 설치하고자 하는 글꼴 파일을 누른 후에 설치 버튼을 눌러 컴퓨터에 설치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해당 신동엽 손글씨 서체 파일은 2개이므로 모든 글꼴을 설치하면 동일한 과정을 2번 수행해야 한다. 참고로, 신동엽 손글씨 서체 파일은 2개뿐이므로 위와 같이 2번 설치하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글꼴 파일이 여러 개라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글꼴을 설치하면서 글꼴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우선 기본적으로 위에서처럼 필요한 글꼴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압축을 해제하는 것까지는 동일하다. 이후에 글꼴 파일을 직접 설치 버튼을 눌러 설치하는 방식이 아니라 글꼴 파일을 컴퓨터 운영체계 내에 설치되는 폴더에 직접 이동해서 설치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좌측에서 글꼴 항목을 누른 후에 우측에 나오는 설치 하려면 끌어서 놓기 박스에 설치할 글꼴 파일을 마우스로 잡고 드롭 방식으로 갖다 놓으면 설치를 진행한다. 더불어 사용 가능한 글꼴을 보면 현재 컴퓨터에 설치된 모든 글꼴을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에 글꼴 설치 및 삭제](https://blog.kakaocdn.net/dn/qtV7U/btsxq1zkRvQ/WQXyLFTq0YfqGQTtrWsBHk/img.png)
설정을 활용한 방법과 유사한 또 다른 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한 폴더에서 fonts 폴더에 설치할 글꼴 파일을 마우스로 끌어서 드롭해도 된다. 기본적으로 윈도우는 C하드에 설치되므로 아무 폴더나 연 후에 좌측 항목에서 내 PC로 들어간 후에 오른쪽에 나오는 장치 및 드라이브에서 C하드를 선택하고, 이후 Windows 폴더에 들어가 Fonts 폴더를 찾으면 된다. 여기 Fonts 폴더에는 컴퓨터에 설치한 모든 글꼴이 나오므로, 여기에 글꼴 파일을 추가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글꼴도 여기에서 삭제하면 된다.
신동엽 손글씨 서체 활용하기
앞에서 언급했듯이 해당 신동엽 손글씨 서체는 모든 자소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자유분방한 폰트이므로 형식과 격식을 요구하는 문서에서는 가급적 사용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물론, 기본이 신동엽 시인이 원고를 작성할 때 사용한 필체이므로 문학 작품 등 예술 활동과 관련한 작업에는 매우 적합해 보인다.
또한 공공기관이나 기어용 간판에는 어울리지 않지만 작은 카페나 상가 간판용으로 활용하면 이질적이면서도 정감을 느낄 수 있는 신동엽 손글씨 서체가 빛을 발휘할 듯하다. 이외에도 텍스트로 포인트를 주어야 하는 디자인 시에 신동엽 손글씨 서체를 일부만 활용하면 매력적인 연출이 가능해 보인다.
참고로, 모바일 또는 브라우저 등 웹에서 보이는 글꼴 포맷은 WOFF가 일반적이다. 코딩 시에는 대부분 웹과 인쇄에 모두 사용 가능한 TTF 포맷과 함께 웹에서 사용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WOFF 포맷, 이 둘을 함께 사용한다. 위에서 신동엽 손글씨 서체 ttf를 다운로드했는데 해당 신동엽 손글씨 서체 ttf를 WOFF 포맷으로 변환하면 파일 용량이 줄어들어 웹 폰트로 제격이다.
TTF to WOFF | CloudConvert
Compress Merge Capture Website Create Archive Extract Archive Convert TTF Converter TTF The TrueType font forma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Apple and Microsoft and is today a common standard format for fonts. TrueType fonts can be scaled lossless. WOFF
cloudconvert.com
따라서 위와 같이 ttf 포맷을 woff 포맷으로 변환해 주는 사이트를 활용해서 해당 신동엽 손글씨 서체 ttf 포맷을 woff 포맷으로 변환해서 사용하면 된다. 이후 해당 woff 파일을 업로드한 후에 코딩 시에 아래처럼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font-face {
font-family: 'ShinDongYupHandwriting-R';
src: url('../fonts/ShinDongYupHandwriting-R.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body { font-family: 'ShinDongYupHandwriting-R' }
이후 해당 신동엽 손글씨 폰트를 적용할 태그 또는 클라스를 활용해 font-family 속성과 속성값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코딩 시 모든 웹에 있는 텍스트에 신동엽 손글씨 폰트를 적용한다면, 위에 같이 body 태그에 폰트 스타일을 추가하면 된다. 만약 웹 상에서 특정 영역만에 이 글꼴을 사용한다면 해당영역 태그명 또는 클라스명을 활용하여 CSS에서 스타일을 설정하면 된다.